반응형

미국, 중국은 이미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한국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뒤처져 있다. 안타깝게도.... 

 

하지만,

 

한국의 신도시들은 자율주행차를 운영하기 최적이지 않을까?

넓고, 단순하고 정리된 차도를 처음부터 설계하니 말이다. 

자율주행 버스노선 상상도

시기적절하게도 계양테크노벨리는 자율주행시대 즈음에 건설되는 신도시이다.

위와 같이 인천계양A2BL(26년 12월), 인천계양 A3BL(26년 12월), 인천계양A6(29년 01월) 등에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하도록 설계하면 주민 편의가 많이 향상될 것이다. 

물론 전철이나 트램을 도시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깔면 가장 좋지만, 누구나 알듯이 엄청난 재원과 시간이 소요된다. 

6~10 인승 자율 주행 버스

따라서 소형 자율주행 버스를 일단 운영하여 급한 불을 끄고, 나중에 전철이나 트램 도입 계획을 세워도 좋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소형자율주행 버스를 다수 운영하여, 전철의 요금에 택시처럼 이용할 수 있다면 굳이 전철이 필요할까 싶다.

소형 자율주행 버스 상상도

영상을 보고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