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상반기,

오늘도 부동산 폭락론자와 폭등론자의 주장이 팽팽하다. 

하지만 다들 투자자의 관점에서만 상승과 하락을 논할 뿐,

기술 발전이 가져올 부동산 가격의 변화에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 

 

전 국민의 관심사인 아파트 가격은 크게 "토지비+건축비+금융비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토지비용은 어찌할 도리가 없이 시장가격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건축비용도 낮추기가 어려웠는데,

가장 큰 이유는 아파트가 현장에서 재료를 조립하는, 수공예 제품이기 때문이다. 

생각해 보라, 여름에 덮고, 겨울에 춥고, 눈 오고 비 오고, 바람까지 부는 현장에서 재료를 조립하는 게 쉬울까?

 

 

하지만, 건설업계에도 이를 타계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공장에서 생산하는 모듈러 주택이다. 

 

LH및 경기주택공사 등에서 모듈러 주택을 보급하려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일반 콘크리트 아파트보다 가격이 30% 정도 비싼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격이 비싼 이유는 대량 생산 전이고, 고층 주택의 내화규격을 맞추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순 반복 작업에 AI로봇을 투입하면, 인건비를 아낄 수 있고, 따라서 건축비 하락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처럼 아파트도 공장에서 로봇이 생산하게 된다면,

가격이 크게 낮아질 뿐만 아니라, 품질도 월등히 높아질 것이다. 

그러면 단군이래 최초로, 주택이 공산품처럼 평가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한다...

반응형
반응형

공항 갈 때마다 보는 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열심히 택지를 정리하고 있다. 

24년만 해도 곳곳에 철거를 기다리는 건물들이 있었는데, 불과 1년 사이에 없어졌다.

이제 곧 택지 정리는 완료되고 본격적인 택지분양이 시작될 것이다. 

이곳은 6천여 세대가 계획되어  있고, 검암역까지 너무나도 가까워 입지는 최고이다. 

이웃 청라신도시는 상업지를 제외하고 아파트가 들어설 땅이 없다고들 하는데, 검암역 일대가 좋은 대안이 될 듯하다. 

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바로 동쪽에는 대규모 빌라촌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세사기와 맞물려 경매 물량이 엄청나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물량도 많은데, 역전세 물건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대체 집값보다 높은 전세가가 말이 되는가 말이다. 

 

나는 이 빌라촌에 관심이 많은데, 입지가 너무도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이 15년 내외의 건물들로 재개발을 논의하기에는 이르다. 

검암역세권지구의 개발이 시작되고 부동산 상승 사이클이 돌아와야 가치가 오르지 싶다. 

 

이곳 서구는 명칭변경을 앞두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청라구라는 이름이 맘에 든다. 

이 일대를 청라국제신도시와 같은 시도시로 만들면 멋지지 않겠는가?

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반응형
반응형

고양창릉지구 A-4블록 신혼희망타운이 입주자 모집을 하고 있음.

아직 허허벌판이지만, 25년 들어 첫 공공분양인 듯하여 상징성이 높음. 

하지만 나는 청약보다는 재개발/재건축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이 입주자모집 공고를 바탕으로

최근의 토지비, 건축비가 얼마인지 추측해 보았음. 

 

그래서, 입주자모집 공고에 나온 내용을 정리하면,

총공사비는 약 3천3백억 원 이라고함. 

(휴~.. 와 대단하다. 900세대 아파트 단지를 만드는데도 몇 천억 대의 돈이 들이 가는구나...)

 

그중 택지비는 총사업비에서 약 53% 비율을 차지한다 함.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A4블록의 대지면적은 45,272제곱미터로써, 평단가를 계산해 보면 약 1천2백78만 원/평 임.  오호~ 이 가격이 싼 건가 비싼 건가?

네이버 부동산에서 인근 나대지가 약 평당 1500만 원으로 검색되나, 땅 값은 워낙 편차가 커서 절대 비교는 어려울 듯함. 

 

여하튼, 건축비는 약 1552억 원 정도인데,

계약면적 137제곱미터 주택 900세대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계산을 해보면 약 413만 원/평 임.

아파트는 주거전용 면적 이외에도, 계단, 복도, 주동현관, 지하층, 관리사무소, 노인정 등의 건축비도 수분양자가 부담하는 것이므로, 계약면적으로 계산하였음.

강남은 건축비가 평당 1천만 원이 넘는다고 하는데, 400만 원대라고?? 엄청 저렴함??

근데, 이 계산이 맞나? 400만 원대라면 부동산 폭등 전의 가격인데? 

 

단순계산으로도 5억대 전후의 아파트 900세대 라면,

5억x900세대= 약 4천5백억의 사업비가 나와줘야 하는데, 약 3천3백억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이상함. 

 

아마도 금융비용등이 빠진 가격 같음. 

앞으로 다른 아파트 단지의 평당 건축비도 비교해 볼 생각이다. 

경험이 쌓이다 보면 알게 되겠지..

 

 

반응형
반응형

오랜만에 엑셀 VBA를 할 일이 생겼음.

오랜만이라 다 까먹어서, 봉인을 풀기 두려웠는데,

챗 GPT를 사용하니 신세계임...

 

우선,

전체개요를 알려달라 했더니 이렇게 정리해 줌...

오랜 기억 속의 VBA를 상기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맞아 그랬었지...."  핵심만 잘 정리해 주니 책 보는 것보다 훨씬 나았음. 

 

 

다음, 내가 필요한 코드를 알려달라 했더니 이렇게 답을 해줌...

내 말을 잘 알아들을까 싶었는데, 비교적 내가 원하는 코드를 준다. 

아시다시피, 코드는 인터넷 검색해 보면 무수히 많이 나오지만,

내 요구 상황에 맞는 코드를 찾기란 정말 힘들다. 

하지만 챗GPT는 내 요구 상황에 거의 근사합 답을 준다. 

몰론, 세부적인 코드야 인간이 수정해야 하지만, 이렇게 큰 골격을 짜주는 것만 해도 엄청나게 효율적이다. 

코드를 찾는데 들이는 시간을 아예 생략해 버릴 수 있느니 말이다. 

 

AI가 이렇게까지 코드를 만들어 준다면,

코딩 학원이나 강의는 필요할까?

물론 코딩의 기본체계, 개념 정도는 배워야 하겠지만 말이다. 

 

반응형
반응형

미국, 중국은 이미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한국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뒤처져 있다. 안타깝게도.... 

 

하지만,

 

한국의 신도시들은 자율주행차를 운영하기 최적이지 않을까?

넓고, 단순하고 정리된 차도를 처음부터 설계하니 말이다. 

자율주행 버스노선 상상도

시기적절하게도 계양테크노벨리는 자율주행시대 즈음에 건설되는 신도시이다.

위와 같이 인천계양A2BL(26년 12월), 인천계양 A3BL(26년 12월), 인천계양A6(29년 01월) 등에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하도록 설계하면 주민 편의가 많이 향상될 것이다. 

물론 전철이나 트램을 도시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깔면 가장 좋지만, 누구나 알듯이 엄청난 재원과 시간이 소요된다. 

6~10 인승 자율 주행 버스

따라서 소형 자율주행 버스를 일단 운영하여 급한 불을 끄고, 나중에 전철이나 트램 도입 계획을 세워도 좋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소형자율주행 버스를 다수 운영하여, 전철의 요금에 택시처럼 이용할 수 있다면 굳이 전철이 필요할까 싶다.

소형 자율주행 버스 상상도

영상을 보고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

반응형
반응형

대국결의 시대이다. 

국제 커플도 많고 부부도 많다.

단군역사상 가장 교육 수준이 높으며, 선남선녀인 한국의 MZ들.

명절이던, 휴가던 기회만 되면 외국으로 나간다.

이들은 외국어에 능숙하고 해외 생활에도 거부감이 없다. 

이들이 해외에서 마음에 맞는 이성을 만나는 것을 너무나 자연스럽다. 

 

그렇다면, 국제커플에게 출입국이 쉽고, 살기도 좋은 공항인근 신도시가 각광받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수순 아닐까?

그래서, 계양테크노밸리 상상도를 만들어 봤다. 

계양테크노밸리는, 
김포공항 서남쪽의 3,331,714 제곱미터의 면적에, 약 4만 1천여 명, 약 1만 7천 세대의 주택을 공급하는
제3기 신도시 사업이다. 

계획당시의 사회 분위기에 맞게 '테크노밸리'라는 네이밍이 되었지만, 개인적으로 "공항 국제신도시..."가 더 어울리지 않았을까 한다. 

 

여하튼 인천계양A2BL(26년 12월), 인천계양A3BL(26년 12월), 인천계양A9(28년 11월), 인천계양A17(28년 12월),  인천계양A6(29년 01월) 등이 사전청약 중이거나 분양예정에 있다. 

https://youtu.be/PEuLgSa6biQ

 

개인적으로 국제커플의 출입국 편리함에 초점을 맞추어 상상도를 만들었다. 

 

 

계양테크노밸리가 완성될 즈음에는 자율주행 버스도 상용화가 될 것이다. 

따라서 김포공항과 신도시 사이를 자율주행 BRT(Bus Rapid Transit)가 24시간 운행하여, 출입국 하기 훨씬 쉬워질 것이다.

공항에서 20여분 정도면 계양테크노밸리의 집에 도착할 수 있으니, 고향, 가족, 경조사에 출입국이 필수인 국제커플에게는 너무도 편한 도시가 될 것이다. 

또한 지식산업단지와 상업지구도 계획되어 있으니 직장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국제음식문화거리가 활성화되어 세계 각국의 음식을 맛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국내혼이던 국제결혼이던 젊은이들을 밀어주는 쪽으로 도시를 만들어주자!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11을 재설치한 후,

네트워크에 물려있는 NAS에 들어가려 했는데,

 

 

아래 메시지를 뿜으며 들어가질 못함. 

인식도 되고 이름도 뜨는 것을 보니 하드웨어의 문제는 아님. 

원래는 ID와 비번을 물어보는 화면이 나와야 함. 

 

"네트워크 오류? 네트워크 경로를 찾지 못했습니다. 0x80070035 ??? "

전에도 이것 때문에 한 참 고생했던 기억이.....

 

이럴 때는 "제어판->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smb 1.0/cifs 파일 공유 지원" 기능을 체크한다. 

구형 NAS와 네트워크를 사용할 경우 이런 일이 발생하는 듯하다. 

최신 윈도우의 경우 이것을 "사용 안함'이 디폴트로 설치되나 보다.

이제 나스도 최신 것으로 바꿔야 하나??

 

반응형
반응형

지름신이 도져 웨스턴 디지털 SN850x 1TB를 구입함. 아무 생각 없었음. ㅋ

 

 

윈도우 11 설치 시도.

 

밧뜨, 위 메시지 뿜으면서 설치가 안됨. 엄청 당황함. 

전에 쓰던 윈도10 USB로 설치시도해 봤더니 이건 또 됨.. 뭐지??

즉, WD SN850x의 드라이버가 없단 얘기....말이 안되지만 여하튼 쉽게 가기로 결정. 

 

그래서 최신 윈도11을 구해 설치 시도 -> 성공!!

이것저것 세팅하고, 익숙해지는데 하루 걸림. 

 

셋팅완료하고 윈도에서 제공하는 백업 및 복원(Windows 7)을 이용해 백업하려 했더니...

 

 

"시스템 이미지 만들기 백업이 실패했습니다 0x80780119" 메시지 뜨면서 또 안됨!!

이건 뭐야 검색해 보니, 

 

시스템 예약 파티션이 작아서 그렇다나 어떻다나...

아 맞아!! 예전에도 이래서 파티션 날리고 다시 파티션 셋팅해서 설치했던 기억이....

내가 이래서 윈도우가 자동으로 잡아주는 파티션을 싫어했던 기억이 남....

 

윈도 다시 설치하려니 눈앞이 깜깜해짐. 

지금까지 세팅하고 지랄했던 시간이 아까움....

그래서 컴터 끄고, 커피 한잔 하다 보니

 

WD에서 제품 구입자에게 아크로니스 트루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생각남...

 

망할!!!  이 참에, 기능 업데이트도 안 해주는 " 윈도우 7  이미지 백업" 기능을 버리기로 결정. 

웬디 홈피에서 트루이미지를 다운받아 설치해 봄. 

 

 

5년 사용 라이선스를 준단다. 

5년이면 떡을 치지... 전에 쓰던 NVME도 평생 쓸 줄 알았지만, 5년 지나니 용량이 부족해지더라.

SSD 고장 나기 전에 업그레이드하는 현실, TBM이 딴 거 의미 없더라..

 

 

그래서 윈도우 이미지 백업하고, 부팅 디스크도 만듦. 

시나리오에 따라 이미지도  여러 개 만들 수 있음. 

 

그러고 보니?

삼성은 이미지 백업 소프트웨어를 제공했었나?

기억해 보네 드라이버 매직캔인가? 그건 마이그레이션 기능만 제공한 거 같은데...??

 

난 이제 백업 툴 제공하는 웨스턴 디지털로 간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