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창릉지구 A-4블록 신혼희망타운이 입주자 모집을 하고 있음.

아직 허허벌판이지만, 25년 들어 첫 공공분양인 듯하여 상징성이 높음. 

하지만 나는 청약보다는 재개발/재건축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이 입주자모집 공고를 바탕으로

최근의 토지비, 건축비가 얼마인지 추측해 보았음. 

 

그래서, 입주자모집 공고에 나온 내용을 정리하면,

총공사비는 약 3천3백억 원 이라고함. 

(휴~.. 와 대단하다. 900세대 아파트 단지를 만드는데도 몇 천억 대의 돈이 들이 가는구나...)

 

그중 택지비는 총사업비에서 약 53% 비율을 차지한다 함. 

고양창릉 공공주택지구 A4블록의 대지면적은 45,272제곱미터로써, 평단가를 계산해 보면 약 1천2백78만 원/평 임.  오호~ 이 가격이 싼 건가 비싼 건가?

네이버 부동산에서 인근 나대지가 약 평당 1500만 원으로 검색되나, 땅 값은 워낙 편차가 커서 절대 비교는 어려울 듯함. 

 

여하튼, 건축비는 약 1552억 원 정도인데,

계약면적 137제곱미터 주택 900세대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계산을 해보면 약 413만 원/평 임.

아파트는 주거전용 면적 이외에도, 계단, 복도, 주동현관, 지하층, 관리사무소, 노인정 등의 건축비도 수분양자가 부담하는 것이므로, 계약면적으로 계산하였음.

강남은 건축비가 평당 1천만 원이 넘는다고 하는데, 400만 원대라고?? 엄청 저렴함??

근데, 이 계산이 맞나? 400만 원대라면 부동산 폭등 전의 가격인데? 

 

단순계산으로도 5억대 전후의 아파트 900세대 라면,

5억x900세대= 약 4천5백억의 사업비가 나와줘야 하는데, 약 3천3백억이라는 것은 아무래도 이상함. 

 

아마도 금융비용등이 빠진 가격 같음. 

앞으로 다른 아파트 단지의 평당 건축비도 비교해 볼 생각이다. 

경험이 쌓이다 보면 알게 되겠지..

 

 

반응형
반응형

미국, 중국은 이미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지만,

한국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뒤처져 있다. 안타깝게도.... 

 

하지만,

 

한국의 신도시들은 자율주행차를 운영하기 최적이지 않을까?

넓고, 단순하고 정리된 차도를 처음부터 설계하니 말이다. 

자율주행 버스노선 상상도

시기적절하게도 계양테크노벨리는 자율주행시대 즈음에 건설되는 신도시이다.

위와 같이 인천계양A2BL(26년 12월), 인천계양 A3BL(26년 12월), 인천계양A6(29년 01월) 등에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하도록 설계하면 주민 편의가 많이 향상될 것이다. 

물론 전철이나 트램을 도시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깔면 가장 좋지만, 누구나 알듯이 엄청난 재원과 시간이 소요된다. 

6~10 인승 자율 주행 버스

따라서 소형 자율주행 버스를 일단 운영하여 급한 불을 끄고, 나중에 전철이나 트램 도입 계획을 세워도 좋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소형자율주행 버스를 다수 운영하여, 전철의 요금에 택시처럼 이용할 수 있다면 굳이 전철이 필요할까 싶다.

소형 자율주행 버스 상상도

영상을 보고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

반응형
반응형

LH의 인천 가정2지구에 위치한 행복주택 아파트입니다. 

 

청라신도시와 루원씨티 중간에 있어서 입지는 정말 좋습니다. 

양도시의 인프라를 골라서 이용할 수 있으니 말이죠. 

또한 7호선 개통되면 서울 출퇴근도 너무 편해질 것입니다. 

 

직접 가보니 아파트 바로 앞에 심곡천이 있어서 산책이나 운동하기도 좋았습니다. 

강아지랑 산책하는 분들도 많이 있더군요. 

 

다만 이 근방이 신축아파트와 지하철 건설로 공사판인지라 어수선한 분위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몇 년 안에 공사가 완료되면 조용한 도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근처에 LH홍보 전시관도 있고요.

가까운 곳에 국제성모병원도 있어서 여러모로 안심되는 위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LH에서 분양하는  인천가정 A2블록 신혼희망타운에 다녀왔습니다. 

한 마디로 여기 대박입니다. 

탁 트인 시야로, 정말 살기 좋은 곳이란 느낌이 들었습니다. 미래에는 어떻게 변할지 상상조차 안될 정도입니다. 

북쪽에는 연희크리캣경기장, 인천아시아드 주 경기장이 있어서 운동하고 문화생활 누리기 딱 좋은 위치입니다. 

북동쪽에 "카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도 있어서 병원역세권이기도 합니다. 

주변이 부지조성공사와 7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복잡하기 하지만,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문제입니다. 

바로 10여분 거리에 LH모델하우스가 있으니 분양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방문해 보세요. 

지도 앱에서 보는 것과 직접 가서 보는 것은 정말 다릅니다. 

분양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현장에 가보시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건축비, 분담금 때문에 시장이 난리지만, 그렇다고 공급을 안 할 수도 없죠.

수도권에서도 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쭉~쭉 잘 올라가고 있습니다. 

영종 LH A-33 블록은 24년 12월 입주예정이고 약 447세대입니다. 

대로변에 위치해서 진출입이 편하죠. 

 

하지만 여전히 미분양 물량이 많이 남아 있는 듯합니다. 

분양가는 주변 신축시세에 비해 비슷하다 정도입니다. 혹할 정도로 많이 싸지는 않네요. 

미분양 후에 여러가지 까다로운 조건도 완화되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시기를 잘 조절하여 합리적인 가격에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A-33위치

그나저나 영종에는 종합변원이 왜 안 생기나요?

상주인구가 벌써 10만 명이 넘었는데 종합병원이 없는 게 말이 됩니까?

종합병원만 생기면 휴양 도시로써도 장점이 많은 곳인데 말이죠. 

반응형
반응형

영종도 운서역 근처에 가끔 가는데, 인천과학고등학교 근처에 아파트가 쭉~쭉 올라가는 게 보입니다. 

LH에서 분양하는 안단테 아파트인데요, 성 같이 웅장합니다. 

터파기 하던게 엊그제 같은데, 정말 빨리 올라가네요. 

서울은 재개발 한번 하려면 10년씩 걸리는데, LH에서 분양하는 토지에 아파트 건축은 정말 빠릅니다. 

 

*분양가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분양가는 84형이 3억대에서 다양합니다( 아, 가격이 복잡하다..)

반응형

출처-LH

국토교통부에 흥미로운 것이 있어서 가져왔는데, 

출처-국토교통부

총 사업비는 약 2천2백억입니다. 600세대니까 1세대당 사업비는 약 3억 7천 정도네요. 

공공분양이라 그런지 사업비보다 싼 분양가입니다. 

하지만 이 아파트는 27년 1월1일까지 매매가 불가능합니다. 이런 조건이면 공공분양이 과연 좋은 건가 의구심이 드네요. 

 

*향후가치는..

최근 부동산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가 반등하는 분위기 입니다. 

그래서 주변의 신축아파트들도 지난해 급매가 많았습니다.

그때 잘 잡았으면 신축을 3억 중반에 잡을 수도 있었죠. 지금은 호가가 4억대가 넘습니다.

전문가들도 5~7년 후면 다시 대세상승장이 올거라 말하는데요, 

묘하게 이 아파트의 매매가능 시점인 27과도 맞아 떨어집니다.

미래는 알 수 없지만, 운서역과도 가까우니 가능성이 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